본문으로 바로가기

현재 위치: HOME > 노벨상이란 > 역대노벨상수상자

역대 노벨상 수상자

역대 노벨상 수상자

역대 노벨상 수상자들의 업적을
확인해보세요!

2016 수상자 정보

수상자 정보
장피에르 소바주 사진

장피에르 소바주 Jean-Pierre Sauvage 프랑스의 화학자. 분자기계를 개발하는 데 기여한 공로로 2016년 영국의 프레이저 스토더트, 네덜란드의 베르나르트 페링하와 함께 노벨화학상을 공동으로 수상하였다.

프레이저 스토더트 사진

프레이저 스토더트 Fraser Stoddart 영국의 화학자. 분자기계를 개발하는 데 기여한 공로로 2016년 프랑스의 장피에르 소바주, 네덜란드의 베르나르트 페링하와 함께 노벨화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베르나르트 페링하 사진

베르나르트 페링하 Bernard L. Feringa 네덜란드의 화학자. 분자 모터를 개발한 공로로 2016년 프랑스의 장피에르 소바주, 영국의 프레이저 스토더트와 함께 노벨화학상을 공동 수상하였다.

2016 수상 업적

프랑스 출신 소바주 교수는 정전기, 빛 등의 자극을 주면 움직이는 분자 단위의 장치인 분자기계(Molecular Machine)를 최초로 개발했다. 그는 1983년 고리 모양의 분자 2개를 사슬 모양으로 연결한 분자기계인 캐터네인(Catenane) 개발에 성공했다. 일반적으로 분자들을 합성하면 화학적으로 결합해 완벽히 하나가 되지만 케터네인은 기계적으로 결합해 분자의 고리가 각각 움직일 수 있다. 영국 출신 스토다트 교수는 소바주 교수의 연구를 한층 더 발전시켜 1991년 긴 막대 모양의 분자에 고리 모양의 분자 여러 개를 연결시킨 분자기계 로택산(Rotaxane)을 만들었고, 이를 활용하여 분자리프트, 분자근육, 분자 기반의 컴퓨터 칩을 개발했다. 이어 네덜란드 출신 페링하(Bernard Feringa) 교수는 선풍기 날개나 자동차 모터처럼 분자가 한쪽 방향으로 돌아가게 만드는 분자모터(Molecular Mortor)를 1999년 최초로 개발해 냈다. 이후 그는 분자모터를 이용해 이보다 1만 배 큰 실린더를 회전시킨 데 이어 2011년 나노 크기의 자동차 분자기계를 만들어 네 바퀴를 굴러가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들이 개발한 분자기계는 나노(1nm는 10억 분의 1m) 수준보다 더 작은 분자 수준의 장치로, 반도체의 집적회로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거나 암세포 등을 공격하는 초소형 로봇 제작에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