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현재 위치: HOME > 노벨상이란 > 역대노벨상수상자

역대 노벨상 수상자

역대 노벨상 수상자

역대 노벨상 수상자들의 업적을
확인해보세요!

2003 수상자 정보

수상자 정보
피터 에이그리 사진

피터 에이그리 Peter Agre 1949~ 미국의 의학 박사이자 분자생물학자. 1970년에 오그스버그 대학교에서 화학으로 학사 학위를 받고, 1974년에 존스홉킨스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4년부터 존스홉킨스 대학교 약학연구원 생화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세포막에 있는 물 통로를 발견함으로써 세포막 생화학에 있어 새로운 연구 분야를 열었다.

로더릭 매키넌 사진

로더릭 매키넌 Roderick Mackinnon 1956~ 미국의 화학자. 1978년에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 생화학을 공부하였으며, 1982년에 터프츠 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6년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 박사후과정을 이수하였다. 1996년 록펠러 대학교 교수 및 분자 신경생물학과 생물리학 연구소 소장으로 임용되었다. 이온 통로의 3차원 구조 결정을 통하여 이온 수송에 관한 생화학적 기초를 세우는 데에 기여하였다.

2003 수상 업적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03 was awarded “for discoveries concerning channels in cell membranes” jointly with one half to Peter Agre “for the discovery of water channels” and with one half to Roderick MacKinnon “for structural and mechanistic studies of ion channels”.
2003년 노벨 화학상은 “세포막 통로 발견” 공로로 “세포막의 수분 통로를 발견”한 피터 에이그리에게, “이온 통로의 구조 및 메커니즘을 연구”한 로더릭 매키넌에게 공동 수여되었습니다

2003 수상 추천문

전하, 그리고 신사 숙녀 여러분.

알프레드 노벨 박사의 시대에는 학술원에서 최근의 과학적 진보에 관한 공개 시범을 하여 대중을 교육하고 즐겁게 했습니다. 불행하게도 이러한 전통은 거의 잊혀졌습니다. 그러니 우리 잠시만이라도 과학의 대중적 시범을 재현해 봅시다.
제가 하려는 시범은 간단한데, 노벨상 축하연에 딱 어울리는 이것을 여러분이 직접 하시는 겁니다. 생각하는 것, 그러나 단 5초 동안입니다.
자, 생각을 시작하십시오. 5초를 드리겠습니다. 1, 2, 3, 4, 5. 됐습니다.
이제 우리들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방금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잠시 생각해 봅시다. 첫째, ‘도대체 무엇을 하려는 걸까, 시상식을 하다 말고 정말로 생각을 해야 하나’라고 여러분이 궁금해 하면서 뇌의 활동이 급격히 증가합니다. 그리고 실제로 생각하는 동안 신경신호가 폭포처럼 쏟아지고 마침내 정상 휴식상태로 돌아갑니다. 이러한 모든 사고는 궁극적으로 여러분이 상상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화합물 중 하나인 보통의 소금에 의존합니다. 즉 수많은 나트륨, 칼륨, 그리고 염화이온이 여러분의 신경세포막을 통해 들어오고 나가는데 이들의 흐름이 여러분의 사고를 활성화시키는 신호를 생산합니다. 많은 양의 소금이 필요하지도 않습니다. 대략 추산해서 우리들 각자가 5초 동안 생각하는 데 소비한 소금의 총량은 몇 그램 이하입니다. 단지 한 줌의 소금이 이 시상식장에 계신 모든 분들의 사고를 작동시킨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두뇌 활동이 우리의 마음을 차지하는 동안, 신장은 늘 그렇듯이 소변에서 물을 재흡수해서 피로 보내는 일을 조용히 계속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엔 피로 보낸 물의 양이 매우 많아서, 단 5초 동안임에도 불구하고 이 연단에서 시범을 보이기에 충분한 양이 됩니다.
올해 노벨 화학상은 소금물에 관한 모든 것, 그리고 우리 몸의 세포 안과 밖으로 이온과 물이 어디서, 언제, 얼마나 자주 드나드는지를 조절하는 생화학 메커니즘에 관한 것입니다. 바로 두 분의 수상자, 피터 에이그리 교수와 로더릭 매키넌 교수가 원자 수준까지 밝혀낸 메커니즘입니다.

에이그리 교수의 연구는 ‘기대하지 않았던 것을 뜻밖에 찾아낸 발견’이었습니다. 그는 완전히 다른 문제에 관해 연구하는 동안 적혈구 세포에 있는 단백질을 우연히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곧 이것이 과학자들이 족히 한 세기 이상 찾으려 한 물 통로라는 것을 밝혔습니다. 그의 예기치 않은 발견은 완전히 새로운 연구 분야를 열었습니다.
매키넌 교수는 반면 그 시대에는 불가능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하기로 일찌감치 작정했습니다. 원자 수준의 해상도로 이온 통로의 삼차원 구조를 결정하는 것이었습니다. 매키넌 교수는 이 목적에 자신의 연구 인생을 걸었고, 그 자신도 놀랄 정도까지 성공했습니다.
여기에 교훈이 있습니다. 과학에는 왕도가 없다는 것, 그리고 우리의 지원제도는 금전적으로 충분하고 또 다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예기치 않은 발견의 재능을 위한 지원과, 또 중심이 되는 과학적 목표에 집중적이거나 때로는 모험적으로 도전하더라도 연구 기반을 확립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피터 에이그리 교수와 로더릭 매키넌 교수는 세포막 생화학에 결정적인 공헌을 했습니다. 그러나 이들의 발견은 또한 거의 실체적이고 미학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두 분은 그 단순성과 완벽성에서 숨막힐 정도인 물과 이온 통로의 원자구조에서 놀랄 만큼 ‘경제적인 디자인’을 발견했습니다. 이 분자기계를 보고 나서 여러분은 참으로 “그래, 이것이 그래서 이런 모양이어야 하는구나? 이것이 이렇게 작동하는구나!”라고 생각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것입니다. 더 이상 무슨 과학을 묻겠습니까?

에이그리 교수님, 매키넌 교수님.
물과 이온 통로에 관한 두 분의 근본적인 발견은 원자 수준에서 작동하는 이 절묘하게 디자인된 분자기계를 볼 수 있게 한 비범한 업적입니다. 생명을 이루는 가장 풍부하고 근원적인 물질인 물의 수송, 그리고 작고 평범하지만 생명체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구성성분인 이온의 수송에 관한 생화학적 기초를 이제 전례 없이 자세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의 진심 어린 축하를 전해 드립니다. 앞으로 나와 주십시오. 이제 전하께서 노벨상을 수여하시겠습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군나르 폰 하예네